단순 잡설입니다.
최근(이라고 말하기도 좀 뭐한게, 꽤 됏음;) 인생이 고단하거나 힘들 때,
잠자리에 들기전에 마리아 님이 보고 계셔 한 두 편씩 보고 자곤 합니다.(;)
덕분에 꽤나 자주 보게 되어(;) 여러가지 새로운 면을 발견한다거나
예전과는 다른 감상도 느끼게 됩니다.
아무튼, 이 작품 비교적 초반에 나온 인물 중 카니나 시즈카.
로사 카니나라고 불리는 이 아가씨는 짧은 등장이었지만 나름대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로사 카니나에 대해서도 더 느껴지는 것이 있더군요.
이 작품 내에서 백장미(로사 기간티아) 패밀리는 그 기묘한 분위기로 유독 튀는데요.
(최소한 니죠 노리코가 들어오기 전 까지는.)
카니나 시즈카는 백장미 패밀리는 아니었지만 넓게 봐선 이쪽에 포함된다고 봐야겠죠.
그렇기에 그러한 분위기(;)도 가지고 있었으며,
그렇기에 사토 세이나 토도 시마코와 어울려도 굉장히 자연스러운 인상을 받았었습니다.
최근에 자주 보면서 느낌이 좀 변했는데,
그러면서도 백장미 패밀리와 차이가 나는 부분이 보이더군요.
뭐라 잘 형용은 못하겠는데, 대충 설명하면 로사 키넨시스(미즈노 요코)의 느낌이 살짝 난다는 것.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은 역시 시마코를 상대할 때(;)이며
시마코의 이곳저곳을 조목조목 따져나갈 때 자꾸 미즈노 요코가 보이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미즈노 요코급 통찰력을 지녔달까. 시마코와의 데이트 이벤트에서도 그랬고 1기에서나 3기 ova 수학여행 편에서 유미에게 조언해주는 걸 보면 유미의 문제점이나 마음 속을 뚫어보고 있음.)
사실, 이 부분.
미즈노 요코가 얼핏 보인다는 점에서 인간으로서의 완성도가 상당히 높아 보인달까.(;;;)
그래서 간혹 로사 카니나가 시마코 대신 당선되어 로사 기간티아(백장미)가 됐을 때의 경우도 나름대로 상상해 봅니다.
솔직히 이 작품은 초대 3장미들의 졸업과 함께 신레벨(;)에서 인간레벨(;)로 떨어졌다는 인상이 있는데,
이 중간 레벨은 유지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고요.
로사 카니나가 내뿜는 분위기는 초대 3장미와 거의 동등한 수준입니다.
솔직히 동년배에서도 먼치킨이라 칭송받는 사치코(홍장미)와 레이(황장미)는 따위로 보일정도로요.
사치코와 레이는 나름대로 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이 쪽은 그런 부분을 보이지 않았죠.
(이건 등장 자체가 짧아서 그럴지도. 아무튼 오히려 이 완벽함 때문에 사토 세이의 동생이 되지 못한 거 아닐까 하는 생각도 가끔 듬.)
만약 로사 기간티아가 됐다면 산백합회의 균형을 유지하는 인물이 됐을 것 같습니다.
백장미의 기운이 좀 있기는 하지만 사토 세이와는 전혀 다른 인물상이고 미즈노 요코의 포지션이 될 가능성이 더 높지 않았을까 싶어요.
(하지만 미즈노 요코가 사토 세이에게 잔소리하던 것 처럼, 카니나 시즈카가 오가사와라 사치코에게 잔소리하는 모습은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그래도 미즈노 요코처럼 좀 직설적으로 풀지는 않을 것 같고,
좀 돌려가면서 문제 해결의 뉘앙스 정도만 띄우지 않았을까 싶기도.
시마코가 동생이 됐을지는 모르겠지만
되던 안되던 역시 잘 끌어줬을 것 같습니다.
역시 시마코는 (은근 자존심이 강해서) 시즈카의 동생은 되지 않았을 것 같아요.
그래도 시즈카는 시마코에게 도와달라는 식으로 산백합회에 묶어뒀을 것 같고 시마코가 로사 기간티아가 될 수 있도록 이끌었을 것 같네요.
(시즈카도 동생을 만들진 않았을 것 같음.)
이후에 벌어질 니죠 노리코와의 만남 부분도 사치코와 레이처럼 거친 방식(솔직히 이거 볼 때마다 너무 막무가내 같음;)이 아니라 좀 더 부드럽게 풀어가는 실마리를 제공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들더군요.
시마코 뿐만 아니라 유미의 상담역으로도 많이 활동했을 것 같습니다.
때로는 미즈노 요코처럼, 때로는 사토 세이처럼.
(물론 사토 세이처럼 들러붙진 않겠지만)
유미가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던 레이니 블루 때에도 큰 힘이 되었을 것 같고
(유미가 사토 세이를 찾는 상황까지는 안갔을지도.)
유미가 토오코에게 차였을 때도 자신의 경험을 말해주며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해줬을 것 같습니다.
(시즈카 정도의 인물이라면 자신의 위치를 알테니 사치코 이상의 무언가를 하진 않았을 듯.)
이렇게 적고 보니 역시 너무 강캐같습니다.(;)
(위에도 적었듯이 카니나 시즈카의 포스는 3장미와 비슷한 수준이라 느낌)
3장미 졸업 후 이 작품의 대다수의 이야기는 무언가 모자란 인간관계를 채워나가며 성장하는 인상인데,
카니나 시즈카가 있다면 이런 부분들의 강도가 약해졌을 것 같군요.
뭐, 카니나 시즈카가 직설적으로 나서진 않고 조언정도만 살짝 흘렸겠지만요.
이야기의 밸런스를 위해(;) 조기 퇴장이 올바르지 않았나 싶군요.
마치 브레이크 블레이드에서 지르그가 조기 퇴장 당하고 원피스에서 샹크스가 초반에 팔을 잃는 것 처럼..
(아니, 후자는 아니지 않아?!)
ps :

처음 봤을 때는 딱 흑장미스런 인상이었습니다.
어딘지 표독스러운 느낌도 들고, 강력한 악역(;)스런 분위기도 느껴지는 캐릭터 디자인 같습니다.
이건 지금 봐도 마찬가지.
하지만 이 작품 등장인물들이 다 그렇듯 좋은 사람이었다는 것.
아무튼 이 작품에 대한 느낌을 빗대어 보면 여전히 꽤나 강렬한 인상이 드는 용모입니다.
ps2 : 카니나 시즈카 주역 에피소드가 생성된다면 역시 시마코를 동생으로 만드는 이벤트일까..(;)
최근(이라고 말하기도 좀 뭐한게, 꽤 됏음;) 인생이 고단하거나 힘들 때,
잠자리에 들기전에 마리아 님이 보고 계셔 한 두 편씩 보고 자곤 합니다.(;)
덕분에 꽤나 자주 보게 되어(;) 여러가지 새로운 면을 발견한다거나
예전과는 다른 감상도 느끼게 됩니다.
아무튼, 이 작품 비교적 초반에 나온 인물 중 카니나 시즈카.
로사 카니나라고 불리는 이 아가씨는 짧은 등장이었지만 나름대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로사 카니나에 대해서도 더 느껴지는 것이 있더군요.
이 작품 내에서 백장미(로사 기간티아) 패밀리는 그 기묘한 분위기로 유독 튀는데요.
(최소한 니죠 노리코가 들어오기 전 까지는.)
카니나 시즈카는 백장미 패밀리는 아니었지만 넓게 봐선 이쪽에 포함된다고 봐야겠죠.
그렇기에 그러한 분위기(;)도 가지고 있었으며,
그렇기에 사토 세이나 토도 시마코와 어울려도 굉장히 자연스러운 인상을 받았었습니다.
최근에 자주 보면서 느낌이 좀 변했는데,
그러면서도 백장미 패밀리와 차이가 나는 부분이 보이더군요.
뭐라 잘 형용은 못하겠는데, 대충 설명하면 로사 키넨시스(미즈노 요코)의 느낌이 살짝 난다는 것.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은 역시 시마코를 상대할 때(;)이며
시마코의 이곳저곳을 조목조목 따져나갈 때 자꾸 미즈노 요코가 보이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미즈노 요코급 통찰력을 지녔달까. 시마코와의 데이트 이벤트에서도 그랬고 1기에서나 3기 ova 수학여행 편에서 유미에게 조언해주는 걸 보면 유미의 문제점이나 마음 속을 뚫어보고 있음.)
사실, 이 부분.
미즈노 요코가 얼핏 보인다는 점에서 인간으로서의 완성도가 상당히 높아 보인달까.(;;;)
그래서 간혹 로사 카니나가 시마코 대신 당선되어 로사 기간티아(백장미)가 됐을 때의 경우도 나름대로 상상해 봅니다.
솔직히 이 작품은 초대 3장미들의 졸업과 함께 신레벨(;)에서 인간레벨(;)로 떨어졌다는 인상이 있는데,
이 중간 레벨은 유지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고요.
로사 카니나가 내뿜는 분위기는 초대 3장미와 거의 동등한 수준입니다.
솔직히 동년배에서도 먼치킨이라 칭송받는 사치코(홍장미)와 레이(황장미)는 따위로 보일정도로요.
사치코와 레이는 나름대로 결점(;)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이 쪽은 그런 부분을 보이지 않았죠.
(이건 등장 자체가 짧아서 그럴지도. 아무튼 오히려 이 완벽함 때문에 사토 세이의 동생이 되지 못한 거 아닐까 하는 생각도 가끔 듬.)
만약 로사 기간티아가 됐다면 산백합회의 균형을 유지하는 인물이 됐을 것 같습니다.
백장미의 기운이 좀 있기는 하지만 사토 세이와는 전혀 다른 인물상이고 미즈노 요코의 포지션이 될 가능성이 더 높지 않았을까 싶어요.
(
그래도 미즈노 요코처럼 좀 직설적으로 풀지는 않을 것 같고,
좀 돌려가면서 문제 해결의 뉘앙스 정도만 띄우지 않았을까 싶기도.
시마코가 동생이 됐을지는 모르겠지만
되던 안되던 역시 잘 끌어줬을 것 같습니다.
역시 시마코는 (
그래도 시즈카는 시마코에게 도와달라는 식으로 산백합회에 묶어뒀을 것 같고 시마코가 로사 기간티아가 될 수 있도록 이끌었을 것 같네요.
(시즈카도 동생을 만들진 않았을 것 같음.)
이후에 벌어질 니죠 노리코와의 만남 부분도 사치코와 레이처럼 거친 방식(솔직히 이거 볼 때마다 너무 막무가내 같음;)이 아니라 좀 더 부드럽게 풀어가는 실마리를 제공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들더군요.
시마코 뿐만 아니라 유미의 상담역으로도 많이 활동했을 것 같습니다.
때로는 미즈노 요코처럼, 때로는 사토 세이처럼.
(
유미가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던 레이니 블루 때에도 큰 힘이 되었을 것 같고
(유미가 사토 세이를 찾는 상황까지는 안갔을지도.)
유미가 토오코에게 차였을 때도 자신의 경험을 말해주며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해줬을 것 같습니다.
(시즈카 정도의 인물이라면 자신의 위치를 알테니 사치코 이상의 무언가를 하진 않았을 듯.)
이렇게 적고 보니 역시 너무 강캐같습니다.(;)
(위에도 적었듯이 카니나 시즈카의 포스는 3장미와 비슷한 수준이라 느낌)
3장미 졸업 후 이 작품의 대다수의 이야기는 무언가 모자란 인간관계를 채워나가며 성장하는 인상인데,
카니나 시즈카가 있다면 이런 부분들의 강도가 약해졌을 것 같군요.
뭐, 카니나 시즈카가 직설적으로 나서진 않고 조언정도만 살짝 흘렸겠지만요.
이야기의 밸런스를 위해(;) 조기 퇴장이 올바르지 않았나 싶군요.
마치 브레이크 블레이드에서 지르그가 조기 퇴장 당하고 원피스에서 샹크스가 초반에 팔을 잃는 것 처럼..
(
ps :

처음 봤을 때는 딱 흑장미스런 인상이었습니다.
어딘지 표독스러운 느낌도 들고, 강력한 악역(;)스런 분위기도 느껴지는 캐릭터 디자인 같습니다.
이건 지금 봐도 마찬가지.
하지만 이 작품 등장인물들이 다 그렇듯 좋은 사람이었다는 것.
아무튼 이 작품에 대한 느낌을 빗대어 보면 여전히 꽤나 강렬한 인상이 드는 용모입니다.
ps2 : 카니나 시즈카 주역 에피소드가 생성된다면 역시 시마코를 동생으로 만드는 이벤트일까..(;)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