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아이언맨3의 누설이 조금은 들어갈 것 같으니
민감한 사람들은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특촬 리볼텍으로 발매한 아이언맨 MK42입니다.
아이언맨3에 나온 주역 아머라 볼 수 있는 녀석이지요.
마크42는 아이언맨3에서 토니가 초기에 착용하는(;) 아머로서
보통의 붉은색 이미지의 슈트들과 달리
노란 부분을 전면적으로 내세워서 항간에 이목을 끌었습니다.
(물론 당시에는 안 좋다던 평이 대다수였지만;)
그런 이질적인 형상과 함께
성능 또한 다른 아머들과는 달랐는데,
기본적으로 실험 제작중이던 아머 였는지라 여타 아머들과는 달리
(아이언맨1에서 붉은색 칠하던 장면이 괜히 떠오르는군요. 자비스가 주인님에게 어울리는 수수한 색이라고 말했던 것 같은데;;)
성능은 좀 떨어지는 녀석이었습니다.
덕분에 아이언맨3이 말하는 '아이언맨은 토니 스타크다.'의 상황을 잘 만들어 줬습니다.
이 녀석이 있어서 토니 스타크는 토니 스타크로서 싸울 수 있었지요.(;)
일반 성능은 구리더라도(;)
영화 개봉 전 익스트리미스로 위장(;)했던 특유의 자동 탈착(;)을 이용하여
토니 스타크인 상태에서도 꽤나 재미난 연출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결국 최종 보스를 쓰러뜨린 것도 이 능력이었고.
솔직히 썩 마음에 드는 디자인은 아닙니다만
그야말로 활약에 반해서(;) 구입하게 된 케이스입니다.
슈트로서의 개성은 여지껏 나왔던 제품 중 가장 뛰어나다 볼 수 있습니다.(;)

제품 구성.
여기에서는 빼 먹었지만
특촬 리볼텍 특유의 이름표와 늘 들어있던 스탠드도 있습니다.

여타 리볼텍 스럽다고 해야하나.
일단 겉 모습은 괜찮게 뽑았다고 생각합니다.


얼굴.
뭐, 이쪽도 나쁘지 않게 나왔다고 생각하는데,
리볼텍 특유의 너저분함 때문에 기분이 좋지 않군요.
저 왼쪽눈에 사마귀 같은 것은...(;)


여타 리볼텍 아이언맨도 마찬가지지만
이쪽도 나름대로 디테일을 신경쓴 인상입니다.

팔 가동.
그냥 이러합니다.


고관절은 이제껏 제가 본 볼 관절 중 가장 큰 것을 채용했더군요.
박스에 조차 리볼텍 조인트를 안쓰고 볼 조인트를 쓰고 있다고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이것에 무슨 메리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무릎은 좀 큰 사이즈의 땅콩 관절.

여타 핸드와
리펄서 이팩트들.






액션.
지금부터 단점(;)들을 열거하겠습니다.
먼저 전체적으로 헐렁이는 인상입니다.
그냥 세우려고 해도 헐렁거려서 중심 잡기가 귀찮을 지경이죠.
고관절에 채용한 볼 관절이 딱히 고정성이 좋은 것도 아니며,
무릎의 땅콩 관절은 샘플 볼 때부터 불안했는데 역시나였습니다.
어째 상체도 좀 힘이 없는 듯.
(상체는 중앙을 맞추기도 힘드네요;)
발목도 좀..
아무튼 발목, 무릎, 고관절, 허리 등 전반적으로 헐렁일 요소가 있다는 것;
아무튼 종합적으로 보자면 가지고 놀기 썩 좋은 녀석은 아닙니다.
이건 MK3에서 느꼈던 것과 같은 느낌이로군요.
사실, 이 녀석이 오면 해보고 싶은 것이 꽤 많았는데
그것들이 다 부질없어질 정도입니다.(;)
사실 구조 등을 보면 리볼텍 라이덴 등과 거의 비슷한데
어째서 아이언맨 시리즈는 리볼텍 메탈 기어 시리즈 수준의 만족도를 못 뽑아내는지...

뜨악;;; (>ㅇ<)乃

"하하하하! 그거 한정판이라고~"

"스타크 씨? 카레를 많이 드셨나봐요?"

이상, 리볼텍 아이언맨 MK42였습니다.
리볼텍 아이언맨 시리즈는 MK3 이래 오랜만에 구입을 했는데
어째 만족도는 MK3에서 크게 변한게 없더군요.
사실 불안하면서도 구입한 것은
작품에서의 활약이 인상적이고
어째 이 만한 사이즈로 다른게 나올 것 같지도 않고
(찾아보니 있긴 하더군요;)
MK42의 특성(분해)을 살리기에는 리볼텍이 좋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냥 더도 말고
리볼텍 라이덴 수준이면 좋겠는데...
이번에도 실망입니다..
그럼, 이만.
관련 게시물
토니 스타크 씨! 당신은 어째서 인기가 많은 건가요?
민감한 사람들은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특촬 리볼텍으로 발매한 아이언맨 MK42입니다.
아이언맨3에 나온 주역 아머라 볼 수 있는 녀석이지요.
마크42는 아이언맨3에서 토니가 초기에 착용하는(;) 아머로서
보통의 붉은색 이미지의 슈트들과 달리
노란 부분을 전면적으로 내세워서 항간에 이목을 끌었습니다.
(물론 당시에는 안 좋다던 평이 대다수였지만;)
그런 이질적인 형상과 함께
성능 또한 다른 아머들과는 달랐는데,
기본적으로 실험 제작중이던 아머 였는지라 여타 아머들과는 달리
(아이언맨1에서 붉은색 칠하던 장면이 괜히 떠오르는군요. 자비스가 주인님에게 어울리는 수수한 색이라고 말했던 것 같은데;;)
성능은 좀 떨어지는 녀석이었습니다.
덕분에 아이언맨3이 말하는 '아이언맨은 토니 스타크다.'의 상황을 잘 만들어 줬습니다.
이 녀석이 있어서 토니 스타크는 토니 스타크로서 싸울 수 있었지요.(;)
일반 성능은 구리더라도(;)
영화 개봉 전 익스트리미스로 위장(;)했던 특유의 자동 탈착(;)을 이용하여
토니 스타크인 상태에서도 꽤나 재미난 연출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결국 최종 보스를 쓰러뜨린 것도 이 능력이었고.
솔직히 썩 마음에 드는 디자인은 아닙니다만
그야말로 활약에 반해서(;) 구입하게 된 케이스입니다.
슈트로서의 개성은 여지껏 나왔던 제품 중 가장 뛰어나다 볼 수 있습니다.(;)

제품 구성.
여기에서는 빼 먹었지만
특촬 리볼텍 특유의 이름표와 늘 들어있던 스탠드도 있습니다.

여타 리볼텍 스럽다고 해야하나.
일단 겉 모습은 괜찮게 뽑았다고 생각합니다.


얼굴.
뭐, 이쪽도 나쁘지 않게 나왔다고 생각하는데,
리볼텍 특유의 너저분함 때문에 기분이 좋지 않군요.
저 왼쪽눈에 사마귀 같은 것은...(;)


여타 리볼텍 아이언맨도 마찬가지지만
이쪽도 나름대로 디테일을 신경쓴 인상입니다.

팔 가동.
그냥 이러합니다.


고관절은 이제껏 제가 본 볼 관절 중 가장 큰 것을 채용했더군요.
박스에 조차 리볼텍 조인트를 안쓰고 볼 조인트를 쓰고 있다고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이것에 무슨 메리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무릎은 좀 큰 사이즈의 땅콩 관절.

여타 핸드와
리펄서 이팩트들.






액션.
지금부터 단점(;)들을 열거하겠습니다.
먼저 전체적으로 헐렁이는 인상입니다.
그냥 세우려고 해도 헐렁거려서 중심 잡기가 귀찮을 지경이죠.
고관절에 채용한 볼 관절이 딱히 고정성이 좋은 것도 아니며,
무릎의 땅콩 관절은 샘플 볼 때부터 불안했는데 역시나였습니다.
어째 상체도 좀 힘이 없는 듯.
(상체는 중앙을 맞추기도 힘드네요;)
발목도 좀..
아무튼 발목, 무릎, 고관절, 허리 등 전반적으로 헐렁일 요소가 있다는 것;
아무튼 종합적으로 보자면 가지고 놀기 썩 좋은 녀석은 아닙니다.
이건 MK3에서 느꼈던 것과 같은 느낌이로군요.
사실, 이 녀석이 오면 해보고 싶은 것이 꽤 많았는데
그것들이 다 부질없어질 정도입니다.(;)
사실 구조 등을 보면 리볼텍 라이덴 등과 거의 비슷한데
어째서 아이언맨 시리즈는 리볼텍 메탈 기어 시리즈 수준의 만족도를 못 뽑아내는지...

뜨악;;; (>ㅇ<)乃

"하하하하! 그거 한정판이라고~"

"스타크 씨? 카레를 많이 드셨나봐요?"

이상, 리볼텍 아이언맨 MK42였습니다.
리볼텍 아이언맨 시리즈는 MK3 이래 오랜만에 구입을 했는데
어째 만족도는 MK3에서 크게 변한게 없더군요.
사실 불안하면서도 구입한 것은
작품에서의 활약이 인상적이고
어째 이 만한 사이즈로 다른게 나올 것 같지도 않고
(찾아보니 있긴 하더군요;)
MK42의 특성(분해)을 살리기에는 리볼텍이 좋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냥 더도 말고
리볼텍 라이덴 수준이면 좋겠는데...
이번에도 실망입니다..
그럼, 이만.
관련 게시물
토니 스타크 씨! 당신은 어째서 인기가 많은 건가요?
최근 덧글